뉴스클리핑(07.25)
작성일 2025-07-25 11:07:09
조회수 127
|
---|
![]() 1. 네이버, 크리에이터 수익화 돕는 쇼핑 커넥트 정식 출시 스마트스토어 사업자과 크리에이터가 협업해 상품을 판매하고, 실적에 따라 수익을 공유하는 설루션이다. 2. 중고나라, 상반기 취미·취향 거래액 226%↑…'키덜트·굿즈' 주도 중고나라의 데이터는 소비 트렌드가 '소유'를 넘어 '가치와 희소성'을 중시하는 팬덤 및 수집형 취미로 진화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MZ세대가 주도하는 새로운 소비 양상을 반영하며, 중고거래 플랫폼이 단순한 유통을 넘어 커뮤니티적 가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합니다 3. 단통법 폐지에 통신사 마케팅 전쟁 예고, “11년만에 큰 장 열릴 듯” 단통법 폐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높은 것은 통신비 절감 및 단말기 구매 부담 완화에 대한 염원이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비싼 요금제 유도나 불공정 심화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는 만큼, 정부와 통신사들은 혼란을 최소화하고 실질적인 소비자 혜택을 제공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4. 다이소, 온라인몰 결제액 급등… G마켓·GS샵 제쳐 5위 안착 다이소의 온라인 전환 성공은 오프라인 강점이 온라인 경쟁력으로 이어진 모범 사례입니다. 특히 '오늘배송'과 같은 배송 서비스 강화는 고객 편의성을 높여 기존 이커머스 시장에 새로운 경쟁 구도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저가 상품 중심의 소비 패턴 변화와 맞물려 더욱 주목할 만합니다 5. ‘화캉스’로 스트레스 푸는 Z세대… “화장실은 힐링 공간” '화캉스' 트렌드는 현대 사회에서 Z세대가 겪는 정신적 피로와 개인 공간 부족 문제를 반영하는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화장실 캠핑은 단순히 용무를 보는 것을 넘어, 의도적으로 장시간 머물며 마음을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6. 카카오, 고성능 경량 AI 모델 2종 오픈소스 공개 카카오와 SK텔레콤의 이번 오픈소스 AI 모델 공개는 국내 AI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자원 효율성을 강조한 카카오의 MoE 모델과 한국어 특화 성능을 내세운 SKT의 'A.X 3.1'은 각 기업의 전략적 방향성을 명확히 드러내며, 향후 국내 AI 생태계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7. 알리, 한국기업 전환… 신세계 합작법인 출범 ‘청신호’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가 세금 감면 등 각종 혜택을 포기하고 한국 법인으로 공식 전환했다. 업계에서는 신세계그룹과의 합작법인(JV) 설립을 위한 작업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