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고객지원

공지사항 내용
뉴스클리핑(04.22)
다이애드

1. "월급루팡, 키빼몸 음수, 사측이세요?"…유행어 창시자의 첫 산문집

주요 어록을 살펴보면 △월루(월급루팡) △레지고(레츠 고의 변형) △키빼몸 음수(키에서 몸무게를 뺏을 때의 숫자가 음수) △사측이세요?(주2일제를 주장하면서 반대하는 이들에게 몰아붙일 때 했던 말) 등이 있다. 그는 이대로 출판해도 괜찮겠느냐고 출판사 직원에게 묻다가 반응이 안 좋으면 출판사 탓이라는 대답에 마음 놓고 출판사를 탓하겠다고 다짐한다.

 

2. 구글, 광고시장 독점 ‘불법’ 판결… 애드테크 매각 위기

구글이 또다시 미국 법무부와의 반(反)독점 재판에서 패소했다. 미국 연방법원은 온라인 광고 기술 시장에서 구글이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며 법무부의 손을 들어줬다. 검색 엔진 시장을 불법 독점했다는 판결을 받은 지 8개월 만이다. 메타가 인수합병(M&A)을 통해 경쟁자를 제거했다는 이유로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법정 다툼을 벌이는 등 ‘올드 빅테크’의 수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기술산업의 지형이 급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 네이버, 지도 API '맵스' 전면 수익화… 카카오는 AI로 맞불

네이버클라우드가 맵스를 전면에 내세운 것은 네이버의 지도 앱 서비스 강화와 궤를 같이한다. 최근 네이버는 네이버지도를 슈퍼 앱으로 만들며 지도 앱 내에서도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 플레이스 등 검색 광고와 접목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이 회사의 검색 매출은 플레이스 등 상품 개선의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했다.

 

4. 중화마케팅, 중국 최대 SNS '샤오홍수 인플루언서' 팸투어

한국관광공사 상하이지사 주관하는 이번 팸투어는 20~50대 여성층을 주요 타깃으로한 예술여행으로 기획됐다. 강원도 상하이관광사무소 소장의 인솔아래 여성 인플루언서 3명이 강원도를 방문해 도내 주요 관광지를 예술 콘텐츠로 제작하고 샤오홍수 플랫폼을 통해 중국 현지에 소개할 예정이다.

 

5. 인기·화제성 폭발 '언슬전', '종로 율제병원' 홈페이지 반응도 터졌다

그런데 인스타그램 부계 운영의 뒤를 잇는 신선한 온라인 프로모션 방식이 등장해, 독자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이색 홈페이지’를 활용한 홍보예요. 그동안은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홈페이지’ 대신 ‘인스타그램’을 메인 채널로 운영하는 브랜드들이 많았는데요. 최근, 자체적으로 구축한 홈페이지를 통해 분량과 형식의 제한 없이, 자유롭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해 칭찬 받는 마케팅 사례들이 늘어나기 시작한 겁니다.

 

6. 웰다잉(Well Dying), MZ 몰린 장례지도사…자격증 취득자 4년새 85% 늘었다

최근 방문한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보람장례지도사교육원. 보람상조가 2015년 국내 최초 장례지도사교육원으로 문을 연 이후 현재 26기 수강생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누적 수강생은 262명에 달한다. 특히 장례지도사에 대한 MZ세대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교육 수강생의 평균 연령대가 크게 내려갔다. 현재 수강생 18명 중 45%인 8명이 2030세대다.

 

7. "공유·이효리 안나와도 1위"…소비자 뽑은 광고는? 키즈광고

이번 소비자 설문에서도 임팩트·독창성·공감도 등 콘텐츠 평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브랜드 신뢰도·이용 의향·추천 의향 등 광고 효과 평가 점수 역시 모두 의약·제약·의료 카테고리 광고들의 누적 평균점수를 웃돌았다. 이어 LG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하이드로타워 '프리미엄 가습가전, 그 기술의 정점' 편이 근소한 차이로 2위에 올랐다. 광고 콘텐츠 평가에서는 이해도·신뢰도·공감도 항목 점수가 특히 높았고, 1위와 마찬가지로 광고 효과 평가 3개 항목 모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